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모더나 백신 접종 효과

정보 공간

by 하루하로 2021. 7. 23. 12:19

본문

반응형

 

 

모더나 백신 접종 효과

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지난 6~7월 병원급 의료기간 30세 미만 종사자에 대해 모더나 백신을 접종하였고 7월 26일부터 50대 연령층에 대해 모더나 백신 접종이 실시됨에 따라 모더나 백신의 예방 효과, 이상반응에 대한 대응 요령 등을 설명하였다.

 

  • 모더나 백신 30,42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결과 94.1% 효과가 보고 되었다.
  • 캐나다에서 421,0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차 접종 후 변이주에 대한 예방 효과는 알파 변이 83%, 베타/감마 변이 77%, 델타 변이 72%로 확인되었다.
  • 추가적으로, 1차 접종 후 입원 및 사망예방 효과는 알파변이79%, 베타/감마 변이 89%, 델타 변이 96%로 보고 되었다.

 

모더나 백신
(mRNA-1273)
백신효능(%)
알파 베타/감마 델타
감염 예방
(1차 접종 14일후)
83% 77% 72%
입원 및 사망예방
(1차 접종 14일후)
79% 89% 96%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안전한 모더나 예방접종을 위해 이상반응 대응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

  • 접종을 받은 자는 모두 예방접종 후 15~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.
  • 접종 후 최고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해야 하며,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.

특히, 모더나 접종 후 심근염˙심낭염 의심증상이 발생하거나, 피부필러 시술자에서 얼굴부종이 나타나는 경우는 신속히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며,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이상반응 신고를 해줄 것을 당부했다.

 

[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]

 

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
1. 가슴 통증, 압박감, 불편감 2.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, 호흡 시 통증 3.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4. 실신

 

 

 

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

7월 22일(목)모더나 백신 29만 회분이 도입되어 총 2,492만 회분의 백신이 도입 완료되었다.

8월 말까지 약3,100만 회분의 백신이 추가 공급될 예정으로, 백신 별 세부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되는 대로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 안내할 예정이다.

 

['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('21.7.22. 기준, 단위:회분)]

 

백신종류 도입확정 도입 완료 도입 예정
상반기 7.1 ~ 7.22 7.23 ~ 8.31 9월 4분기
1억 9,300만 2,492만 1,862만 630만 약 3,100만 약 4,200만 약 9천만
코백스 아스트라 제네카 2,000만 126.7만 126.7만 - 83.5만    
화이자 41.4만 41.4만 - -
아스트라제네카 2,000만 1,000,2만 881.4만 118.8만 약 3,000만
화이자 6,600만 1,107.6만 700,2만 407,4만*
모더나 4,000만 115,2만 11,2만 104,0만
얀센 700만 101,3만 101,3만 - 10,1만
노바백스 4,000만 - - - -

 

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(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)

* 7.21(수) 개별 계약된 화이자 백신 186.6만 회분과 더불어 한국-이스라엘 백신 교환을 통한 화이자 백신 8.1만 회분 추가 도입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예방접종 예약 현황

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단은 7월 22일 0시 기준으로 접종대상자 중 77.2%(5,847,769명)가 예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.

 

이 중 55~59세 연령층은 83.2%가 예약하였으며, 50~54세 연령층은 72.3%가 예약을 완료했다.

 

 

구분(예약기간) 접종대상자(A) 접종예약자(B) 예약률(B/A)
7,575,720 5,847,769 77.2
55~59세(7.12. ~ 7.24.) 3,563,172 2,963,961 83.2
50~54세(7.19. ~ 7.24.) 3,843,313 2,780,397 72.3
60~74세 예약자 중 미접종자
(7.12. ~ 7.24.)
169,235 103,411 61.1

 

 

※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 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

 

 

 

코로나19 국내외 발생동향

중앙 방역대책본부는 최근 1주간(7.16.~7.22.) 코로나19 국내 발생 환자는 일평균 1,426.6명으로 전주(7.9.~7.15.) 일평균 1,302.4명 대비 9.5% 증가하였고, 비수도권에서의 확산 세도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.

 

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983.9명 발생, 전체 발생 중 69.0% 차지하였으며, 전주(일평균 970.3명, 비중 74.5%) 대비 비중이 감소하였다.

 

반면,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442.7명 발생, 전체 발생 중 31.0%으로, 전주(일평균 332.1명, 비중 25.5%)대비 비중이 증가하였다.

 

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상황에 대해 4주 연속 증가하였으며, 델타변이 확산의 영향으로 1회 이상 예방접종률이 50% 이상인 국가에서도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.

 

최근 1주간(28주차, 7.12.~7.18.) 전 세계 신규 환자는 343만 명(WHO 기준)으로 전주(300만 명) 대비 약 43만 명이 증가하였다.

 

-영국은 8주 연속 신규 발생이 증가했지만 상대적으로 사망자는 낮은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.

  • 영국:28주 확진 296,447명(+41%), 사망 284명(+48%)

 

이스라엘에서는 한 달 전 대비 주간 확진자 발생이 24배 이상 증가하였고, 예방접종을 완료한 해외 입국자에서 델타플러스 감염이 확인되었다.

  • 이스라엘: 24주 확진 220명, 사망 1명 → 28주 확진 5,537명, 사망11명

 

- 확진자 발생이 안정세를 보이던 독일세 너는 델타 변이 검출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, 신규 확진자 규모도 증가하는 상황이다.

 

  • 독일:28주 확진 8,516명(+62%), 사망 131명(-35%)
  • 알파형 : 20주 91% →26주 22%, 델타형 : 20주 3% → 26주 74%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방역수칙

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1단계 : 경북, 전북 2단계 : 세종, 강원, 충북, 충남, 대구, 울산, 전남, 광주, 경남 3단계 : 부산, 대전, 제주 4단계 : 경기, 인천, 서울 사회적 거리두기

haruharo.tistory.com

 

 

50대 백신예약. 비수도권 유흥 시설 관련 감염 주의

비수도권 주점에서 집단 사례 지속 중앙 방역대책본부는 최근 비수도권에서 주점 등 유흥시설 관련 확진자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해당 시설 이용자 및 관리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였다. 5월 이

haruharo.tistory.com

 

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

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19일 오후 8시 시작되는 가운데 내부 점검과 준비를 위해 이날 낮 시간대에 사전 예약 시스템이 일시 중단 안내 글이 올라왔다. 이유는

haruharo.tistory.com

출처:질병관리청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